pedalboard 2

음악하면서 거쳐간 페달보드 변천사

어느덧 2021년이 시작된지 2달이 지나가는데 문득 사진첩을 정리하던중에 페달보드 사진들을 모아둔 폴더를 찾게되어서 추억여행에 빠져봤다. 기타를 15살때부터 연주하면서 어느덧 햇수로는 10년이 훌쩍.. 사용하던 기타도 수없이 바뀌었지만, 페달도 엄청 요동쳤구나... 20살때 처음 페달보드를 맞춰보고 싶어서 열심히 모은 용돈과 알바비로 구성했던 보드 가운데 밥버트와 코러스사이에 빼놓은 55선이 아마 볼륨페달을 연결하려고 저런식으로 만들었던것같다 그때는 뭔지도 모르면서 딜레이페달은 있는게 좋다라는 소리를듣고 에코쉬프터를 샀는데, 지금생각하면 참... 그땐 에코딜레이가 필요한게 아니었을텐데 ㅋㅋ 22살에 쓰던 페달보드 지금 보니 음악을시작할때부터, 페달보드위에 디스토션을 올려본적이 없다. 더 많은 게인량을 원..

컴프레서 EQ 부스터가 한방에 JACKSON AUDIO BLOOM 컴프레서

저번에 비교했던 THR과 GCS승부에서 그래도 스테레오가 좀더 마음에 들었기 때문에, 앰프살돈을 아껴서 새로운 컴프레서 페달을 가져왔다. 페달보드위에 컴프레서페달은 믹스때 사용하는 컴프레서와 조금 사용용도가 다르기때문에, 컴프레서 페달을 고를때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한다. 페달보드위에서 줄쟁이들이 컴프레서를 올려두고 사용할때는 1. 좀더 정갈해지고 튀는음이 없어지는 효과를 주기위해 2. 컴프레서가 가지고있는 특유의 착색감을 통한 톤메이킹 ( 프리앰프 용도 ) 3. 싱글노트나 클린톤 연주시 힘을더해주는 펀치감 이 3가지를 염두하고 사용한다. 정말 믹스할때 사용되는 컴프레서를 굳이 기타치는 페달위에서 사용해야지! 라기보다, 기타의 톤을 다듬기위해 맨 앞단에 두고 사용하곤한다. 그래서 후보군이 칼리컴프와 잭슨오..